
새로운 아파트로의 입주는 설렘과 기대를 안겨주지만, 그만큼 철저한 준비와 점검이 필요합니다. 입주 전 사전점검을 통해 하자를 발견하고 조치하면, 향후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입주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한 체크리스트입니다.
사전점검의 중요성
사전점검은 입주자가 직접 아파트를 방문하여 시공 상태와 하자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발견된 문제를 시공사에 보수 요청하여 입주 후 발생할 수 있는 불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사전점검은 입주 전 1~2개월 전에 이루어지며, 이때 발견된 하자는 입주 전에 보수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내부 시설 점검 항목
벽지 및 도장 상태
벽지의 이음매나 들뜸 현상, 오염 여부를 확인하고, 도장의 균열이나 색상 불일치를 체크합니다.
바닥 마감재
장판이나 타일의 들뜸, 긁힘, 오염 등을 확인하고, 마루의 경우 이음새나 스크래치를 점검합니다.
창호 및 문
창문과 문의 개폐가 원활한지, 잠금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창틀과 문의 틈새로 바람이 들어오는지 체크합니다.
전기 시설
콘센트와 스위치의 위치와 수량을 확인하고, 모든 전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합니다.
수도 및 배관
수도꼭지에서 물이 정상적으로 나오고 배수가 원활한지 확인합니다. 또한, 누수 흔적이 없는지 점검합니다.
공용 시설 점검 항목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작동 상태와 내부 청결도를 확인하고, 비상시 대처 방법을 숙지합니다.
주차 시설
주차장의 위치와 동선, 주차 가능 대수를 확인하고, 본인의 주차 공간을 파악합니다.
복도 및 계단
공용 복도와 계단의 청결 상태와 안전성을 점검하고, 비상구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계약서 및 문서 확인
입주 전, 분양 계약서와 관리 규약 등을 다시 한번 검토하여 계약 내용과 실제 시공 상태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관리비 부과 기준과 입주 후 일정 등을 파악하여 불이익이 없도록 합니다.
입주 전 준비 사항
이사 일정 조율
이사 날짜를 미리 정하고, 이사 업체와 계약하여 원활한 이사가 이루어지도록 준비합니다.
주소 이전
주민등록 주소 이전, 우편물 수령지 변경 등 행정적인 절차를 미리 완료합니다.
인터넷 및 유선 설치
인터넷, TV 등 통신 서비스를 미리 신청하여 입주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입주 후 초기 점검 사항
입주 후에도 추가로 발견되는 하자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시공사에 보수 요청을 합니다. 또한, 입주자 대표 회의나 관리 사무소를 통해 공용 시설의 문제점을 공유하고 개선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